100일 프로젝트
40일차_어부지리漁夫之利
우리에게 넘나 익숙한 ‘어부지리(漁夫之利)’는 ‘어부의 이득’이라는 뜻으로, ‘둘이 다투는 사이에 제3자가 힘도 안 들이고 이득을 챙긴다’는 뜻의 사자성어다. 너무 빤하지만, ‘어부지리’는 다음과 같은 한자들로 구성된다. 고기 잡을 어(漁), 사내 부(夫), 어조사 지(之), 이로울 리(利) ‘어부(漁夫)’는 ‘고기 잡는 ...
39일차_좌고우면左顧右眄
좌고우면(左顧右眄)은 우리 일상에서 자주 사용되는 축에 속한다. 언제 쓰느냐? ‘주변의 눈치를 살피면서 결정을 못 내리는 사람’을 ‘우유부단하다’고 말하고 싶을 때? 뭐 그런 태도를 빗대는 말이라는 거다. 그럼 이제 한자로 풀어볼까나? 왼 좌(左), 돌아볼 고(顧), 오른 ...
38일차_화룡점정畵龍點睛
오늘도 걷는다. 갈래갈래 난 길들을 왔다 갔다 세심하게 다 걸어주고(혹시라도 빠뜨리면 삐질세라 ㅋ) 유난히 인적 드문 오솔길로 접어들었다. 커다란 떡갈나무들이 곳곳에 서 있는 게 참 운치가 있다. 이 가을에 딱 어울리는 공간, 아름드리 떡갈나무 아래 동그마니 놓여있는 파란 ...
37일차_일엽지추一葉知秋
일엽지추(一葉知秋)는 ‘나뭇잎 하나가 떨어지니 가을이 왔음을 안다’는 뜻이다. 오늘의 이 고사성어는 순전히 나의 사심이 반영된 결과다. 하하. 아침 일찍 집을 나섰고 아파트 앞의 벚나무 아래를 걸어가는데, 나뭇잎 한 잎이 내 머리 위로 톡! 떨어지는 게 ...
36일차_수주대토守株待兎
수주대토(守株待兎), ‘나무 그루터기에서 토끼를 기다리다’는 뜻이다. 이 성어는 다양한 상황에서 여러 의미로 해석될 수 있겠다. 우선, 운에만 의지한 채 노력은 하지 않는, 뭔가를 쉽게 얻으려는 사람을 풍자할 때도 쓸 수 있다. 한 가지 일에만 얽매여 ...
35일차_우공이산愚公移山
어리석을 우(愚), 어른 공(公), 옮길 이(移), 뫼 산(山) 우선 한자풀이부터 해보면, ‘우공(愚公)’은 문자 그대로는 ‘어리석은 어른’ 정도? 여기서 ‘공(公)’은 사람 이름에 붙이는 말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그러니 ‘우공’은 그냥 사람 이름으로 해석하도록 하자. ‘이산(移山)’은 ‘산을 ...
34일차_괄목상대刮目相對
괄목상대(刮目相對)는 우리나라 사람들에겐 가장 익숙한 사자성어가 아닐까 싶다. 정말? 평소 눈에 잘 띄지도 않고 지극히 평범하던 친구 녀석이 어느 날 갑자기 딴 사람 같이 느껴질 때가 있지 않나. ‘아니, 니가 이렇게 똑똑했다고?’라던가, ‘너 이거 언제 ...
33일차_서시빈목西施嚬目
중국의 월(越)나라에 서시(西施)라는 미인이 있었단다. 월왕(越王) 구천(句踐)이 나중에 미인계를 써서 오(吳)나라를 멸망시키는데, 그때 오왕(吳王) 부차(夫差)에게 보냈던 여인이 바로 서시(西施)렷다. 구천(句踐)? 부차(夫差)? 어라, 어디서 들어본 이름인데? 맞다. ‘오월동주(吳越同舟)’편에서 월왕 구천과 오왕 부차가 서로 원수 갚는 얘기 했었지. ...
32일차_호가호위狐假虎威
호가호위(狐假虎威), 이 성어가 어느 정도의 난이도인지 잘 모르겠다. 매일 하게 되는 ‘오늘의 고사성어’ 선정 시간이 또 돌아왔다. 전공자의 입장이 아닌 일반인에게 조금은 친숙하고 혹은 낯설더라도 꼭 알아뒀으면 하는 성어 중심으로 고르려고 애쓰는데, 그게 쉽진 않다. ...
31일차_마이동풍馬耳東風
마이동풍(馬耳東風)이란 말을 들어본 적 있는가? ‘마이 아파?'(하하. 어떤 개그맨이 고사성어 퀴즈에서 이렇게 답하더라?ㅎㅎ) 글쎄, 이게 먼 말이고? 오늘의 이야기에 귀 기울여 주실라우? 이번 성어만큼은 더더더 그랬으면 좋겠다. 그럼, 바로 한자풀이부터 시작해보자. 말 마(馬), 귀 이(耳), 동녘 동(東), 바람 풍(風) ‘마이(馬耳)’는 ‘말(馬)의 귀(耳)’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