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일 프로젝트

62일차_원교근공遠交近攻

지오블루

중동지역에서 이팔전쟁이 발발하니 뉴스기사가 온통 이와 관련된 이슈들로 도배되기 시작했다. 수업자료를 준비하면서 이번 기회에 친구들과 중동지역, 그 원한의 과거와 현재를 제대로 한 번 들여다보고 싶었다. 그래서 토론 주제를 ‘이팔전쟁에 대한 모든 것’으로 정하고 나니 나 ...

61일차_오리무중五里霧中 

지오블루

‘오리무중(五里霧中)’이 먼 말? 당췌 모르겠네. 정답!! 바로 그 ‘먼 말인지 모르겠는’ 그런 상황에서 쓰는 사자성어가 바로 오리무중(五里霧中). 오늘의 성어는 ‘오리무(五里霧) 가운데(中) 있다’는 그 말을 알아볼 테요. 근데, ‘오리무’라고라? 그럼 삼리무(三里霧), 십리무(十里霧)도 있다는 얘기? 빙고!! 바로 ...

60일차_사필귀정事必歸正 

지오블루

어느 날, 포털 사이트에 올라온 기사에서 사필귀정(事必歸正)이라는 사자성어가 눈에 들어왔다. 그것도 아주 많~이. 요즘 나의 최대 관심사가 고사성어다 보니 내 눈에 유난히 더 잘 띈 것이리라. 알고 보니 마약 혐의를 받고 있는 가수 지드래곤이 검찰조사를 ...

59일차_발본색원拔本塞源 

지오블루

‘전세사기 발본색원’, ‘尹대통령, 불법 공매도 발본색원 의지’ 요즘 뉴스기사에서 자주 보게 되는 헤드라인들이다. 이처럼 발본색원(拔本塞源)은 어떤 옳지 않은 사건이나 문제가 발생했을 때, 그 폐단의 근원까지를 철저하게 파헤친다는 의미로 쓰이는 사자성어다. 다시 살아날 수 없도록 아주 ...

58일차_연목구어緣木求魚

지오블루

누군가 나무에 올라 물고기를 잡는다고 생각해보라. 이건 대체 무슨 상황인고? 불가능한 일에 도전하는 꼴이 아니겠는가. 이럴 때 사용하는 사자성어가 있으니 바로 연목구어(緣木求魚)로다. 들어본 적 있는가? 이 성어는 <맹자(孟子)>의 ‘양혜왕상(梁惠王上)’편에 나오는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중국의 춘추전국시대, ...

57일차_정중지와井中之蛙

지오블루

‘우물 안 개구리’라는 뜻의 사자성어 들어봤나? 정중지와(井中之蛙)? 오호, 조금 생경하지만 반갑군. 그럼 이제 ‘식견이 좁음’을 비유하는 이 ‘정중지와(井中之蛙)’의 한자풀이도 궁금하쥬?  우물 정(井), 가운데 중(中), 어조사 지(之), 개구리 와(蛙) ‘정중(井中)’이 ‘우물 가운데’, 그러니까 바로 ‘우물 안’이다. ...

56일차_형설지공螢雪之功 

지오블루

형설지공(螢雪之功), 어렸을 때, 한문수업 시간에 배웠던 기억이 난다. 반딧불(螢)과 눈(雪)의 빛에 비추며 책을 읽었다는 거 아닌가? 반딧불이 불빛으로 공부를 했다고? 하얀 눈에 비춰 책을 읽었다고? 진짜? 이러면서 어린 마음에 엄청 감탄하며 해석하지 않았을까나? 이 고사는 ...

55일차_호사다마好事多魔 

지오블루

살다보면 좋은 일에 쉽게 마음이 들뜰 때가 있다. 그 장면 속 주인공의 모습을 상상하는 것만으로도 흐뭇해지는 이 기분 무엇? 음… 진짜루 너나 할 것 없이 모두에게 그런 행복한 날들이 많아졌으면 좋겠다. 이렇게 훈내 나는 풍경 ...

54일차_두문불출杜門不出 

지오블루

오늘은 내가 가장 잘 하는 일을 표현해주는 사자성어 얘기를 해보고자 한다. 가장 잘 하는 일이라고? 그게 뭔데? 음… 두문불출이다. 우리 일상에서 정말 자주 등장하는 성어이기도 하다. 또 집순이와 집돌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말일 것도 같고. 근데, ...

53일차_호연지기浩然之氣

지오블루

‘호연지기(浩然之氣)’하면 ‘호방함’이라는 단어가 먼저 떠오를 지도 모르겠다. ‘호기로움’과 ‘시원시원함’이 연상될 지도. 그렇다. 우리에게 호연지기는 작은 일에 거리낌이 없는 당당한 기운의 느낌인 거다. 산에 오르며 호연지기를 기른다는 말, 자주 들어본 말 아니던가? 호연지기(浩然之氣)의 한자 면면을 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