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입가경(漸入佳境), 언제부턴가 미디어에서 이 성어가 자주 보이기 시작하더라. 처음엔 참 어색한 단어였는데… 실은 꼭 이 성어만이라기보다 전체적으로 사자성어의 활용이 많아진다는 느낌을 받았던 적이 있다. 특히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막이 주된 재미 요소로 부각되면서 다양한 사자성어의 활용 사례가 늘었달까. 사자성어의 매력은 할 말 많은 자질구레함을 깔끔명료하게 단 네 글자로 정리해주는 데 있을 테다. 이러한 한자 고유의 특징이 자막의 시대가 오자 제대로 빛을 발하더라는 얘기다.
이제 ‘점입가경(漸入佳境)’ 이 성어를 들으면 가장 먼저 연상되는 표현은 무엇인가? ‘갈수록 태산’? 맞다. 확실히 뭔가 상황이 악화되는 그런 부정적 느낌이 짙은 것 같다. 사전에 나와있는 ‘시간이 지날수록 하는 짓이나 몰골이 더욱 꼴불견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이라는 정의도 마찬가지고.
그렇다면, 처음부터 이런 뉘앙스였을까? 이 성어가 나오게 된 배경을 살펴보니 원래는 ‘경치나 문장 또는 어떤 일의 상황이 갈수록 재미있게 전개됨’을 의미하는 거였더라. 긍정과 부정의 상반된 뉘앙스가 하나의 표현에 다 있네. 뭐 이런 단어가 한둘이겠냐만, 그래도 이 성어가 나온 배경을 좀더 알고 싶어졌다.
점차 점(漸), 들 입(入), 아름다울 가(佳), 지경 경(境)
‘점입(漸入)’이란 ‘점점 들어간다’는 뜻이다. ‘가경(佳境)’은 ‘아름다운 경지’다. 그러니 전체 뜻은 ‘점차 아름다운 경지로 들어간다’는 뜻이 될 테다. 이 성어의 출전은 <진서(晉書)>다. 이 책은 방현령(房玄齡) 등이 진(晉)왕조의 정사(正史)를 기록한 것이다. 바로 양귀비의 남자, 당나라 태종의 지시에 따라서 편찬한 책이렷다. ‘우리에게 그나마 익숙한’ 이름을 이렇게 슬그머니 투척하는 이유? 이번 고사도 온통 낯선 이름들뿐이라서. 히히.
암튼! 점입가경(漸入佳境)은 <진서(晉書)> 중에서도 “고개지전(顧愷之傳)”에 전한다. 고개지(顧愷之)라고? 그렇다. 중국 동진(東晉)의 화가 이름이 고개지다. 또 ‘듣보잡’이라고 타박하지 말라. 이렇게 한 명씩 알아가는 거지 뭐. 고개지라는 사람은 초상화 같은, 옛 인물들을 묘사하는 데 아주 뛰어나서 중국회화사상 인물화의 최고봉으로 일컬어진다고. 동시대의 서예가로 이름을 날리던 왕희지(王羲之)와 함께 당대 예술계의 투톱이었단다. 이 사람도 나름 유명했다고요. 하하.
인물화의 대가셨던 고화백님은 사탕수수(甘蔗)를 즐겨 드셨단다. 그는 그러니까 시쳇말로 ‘민초파’ 아니고 ‘사수파’였던 거다. 근데, 이 ‘사수파’의 먹는 방식이 좀 특이하더란다. 사탕수수를 늘 줄기부터 먹더라나. 대체 왜 그렇게 먹느냐고 물으니, 그가 한 대답이 바로 ‘점입가경(漸入佳境)’이었다. 가만~ 맥락이 좀 뜬금없는 것도 같고. 사탕수수를 왜 거꾸로 먹냐니까 ‘점점 아름다운 경지로 들어간다’고?
그래서 또 찾아봤다. 도대체 어떤 맥락에서 이런 대답이 나왔는지를. 저 대화 바로 앞에서 고개지는 수많은 빼어난 산봉우리며 힘차게 흐르는 강물을 예찬하던 중이었더라. 초목의 무성함을 보고는 마치 구름과 노을이 피어오르는 듯 찬란하다는 둥 하며 말이지. 그 와중에서 사탕수수를 왜 그렇게 먹냐는 질문에 ‘점입가경(漸入佳境)’!! 딱 단어 하나로 모든 걸 설명했더라.
그가 사탕수수를 줄기부터 먹는 이유는 ‘갈수록 점점 단맛이 나기 때문’이라고 대답했던 거다. 그에겐 ‘단맛’이 바로 ‘가경(아름다운 경지)’이었네. 이 고사로부터 ‘점입가경’은 자연경관이 점점 더 멋져지거나 문장 또는 어떤 일이 갈수록 더 재밌어지는 상황을 뜻하게 된 것이란다. 줄여서 가경(佳境)이라고도 하고. 음… 그렇군!
이 의미가 확장되면서 ‘가경(佳境)’은 더 이상 꼭 좋은 상황만이 아닌 모든 경우를 다 포함하게 되었던가 보다. 어쩌다 부정적 상황에서 한 번 쓰이게 되면서 그것이 반복되다보니 그 이미지가 굳어진 게 아닐까. 그래서 이제는 ‘점입가경’하면 바로 ‘산 너머 산’ 혹은 ‘갈수록 태산’이란 속담이 떠오르는 게 자연스러워진 게다.
언어란 그런 거더라. 고정된 의미는 없으며 맥락에 따른 해석만이 있더라. 언중(言衆)이 어떻게 언어를 사용하느냐에 따라 말은 얼마든지 변주될 수 있음이다. 그래서 언어는 그 오랫동안 철학의 중심 화두이지 않았던가. 그러고보면 말이란 정말 신중해야 하는 건데…
이 타이밍에 갑자기 드는 생각!!
좀 엉뚱한 소리 같지만, 우리가 평소 아무 고민 없이 뱉어버리는 말들에 대한 모종의 책임감이 스멀스멀… ㅎㅎ
지금 노앰 촘스키, 언어학자의 이야기를 듣고있었는데 점입가경이라는 말이 어떻게 다르게 응용되었는지랑 맥이 같은 점이 있네요. 노앰 촘스키의 말과 샘의 마지막말.. 모종의 책임감… 노장 노앰은 말합니다. “ 진실을 알려줄 필요도없다. 또 진실을 따질 필요도 없다. 다만 , 진실을 알지 못하는 사람들에게 진실을 알아가게 하는 방법이 있다는것만 알려주면 된다.”
제가 언어학을 전공하게 된 게 바로 노엄 촘스키에 매료되어서였답니다. 제 박사논문도 촘스키의 생성문법 기반이었구요. ㅎㅎ 희영샘이 지금 촘스키와 만나고 계시다니…ㅎ